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 경정청구 이렇게

by 꼬꼬마V 2025. 9. 11.
반응형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 경정청구 이렇게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이라면 세금을 줄일 수 있는 특별한 제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바로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혜택입니다.

조건만 충족한다면 무려 5년 동안 최대 1천만 원까지 절세가 가능합니다.

오늘은 제도의 기본 개념부터 신청 절차, 놓쳤을 때 활용할 수 있는 경정청구 방법까지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 경정청구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 경정청구

 

소득세 감면 제도란 무엇일까

청년들이 중소기업에 오래 다니도록 정부가 세금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입니다. 중소기업에 입사하면 소득세의 대부분을 감면받을 수 있으며 최대 90%까지 줄어들기 때문에 청년층에겐 큰 혜택이 됩니다.

 

누가 받을 수 있을까

조건은 크게 근로자 요건과 기업 요건 두 가지로 나뉩니다.

근로자 요건

  • 청년: 만 15세 이상 ~ 만 34세 이하
  • 군 복무자는 복무 기간 최대 6년을 빼고 계산
  • 감면율 90%, 기간 5년, 연 최대 200만 원
  • 그 외 고령자(만 60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상이자, 경력단절여성 포함

 

 

기업 요건

  • 중소기업기본법에 해당하는 기업
  • 금융업, 보험업, 일부 전문직 업종 제외
  • 국세청 홈택스 또는 중소벤처기업부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신청 절차와 필요서류

신청은 첫 연말정산 때 소득세 감면 신청서를 작성해 회사에 제출하면 회사가 세무서에 신고합니다.

필요한 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세 감면 신청서
  • 주민등록등본
  • 병역증명서(해당자)
  • 장애인 등록증(해당자)
  •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입사일자를 정확히 기재해야 하며 이 날짜를 기준으로 감면 기간이 산정됩니다.

 

감면 금액과 기간

  • 2023년~2026년 입사: 소득세 90% 감면, 연 최대 200만 원
  • 2018년~2022년 입사: 소득세 90% 감면, 연 최대 150만 원
  • 2016년~2017년 입사: 소득세 70% 감면, 연 최대 150만 원

예를 들어 2021년에 입사한 청년은 초반에는 150만 원까지만 가능했지만 2023년 이후부터는 연 200만 원까지 확대된 혜택을 적용받습니다.

 

절세 효과 한달 약 4천원대 소득세 부담 

월급 300만 원을 받는 근로자는 원래 한 달 약 4만 6천 원의 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감면 혜택을 적용하면 실제 부담은 4천 원대 수준으로 줄어듭니다.

즉 매달 4만 원 이상 절약할 수 있고 1년이면 약 50만 원 가까이 절세가 가능합니다.

연봉이 높을수록 감면액도 커져 연봉 5천만 원 이상이면 연간 한도인 200만 원을 모두 채우게 됩니다.

 

경정청구로 놓친 혜택 챙기기

제도를 몰라 신청하지 못했다면 경정청구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경정청구는 이미 낸 세금을 돌려달라는 절차로 신고일로부터

5년 이내 신청 가능합니다.

 

홈택스 경정청구 절차

  •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종합소득세 → 근로소득 신고 → 경정청구 선택

회사가 먼저 감면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고 연도별로 따로 신청해야 합니다. 환급까지는 보통 두 달 정도 걸립니다.

 

마무리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은 놓치면 아까운 제도입니다. 

조건만 맞으면 매년 수십만 원에서 많게는 백만 원 이상 아낄 수 있습니다. 특히 이직할 경우에도 새 직장이 중소기업이라면 남은 기간 동안 혜택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복잡한 서류 제출하는 과정도 없이 회사에 신청서와 필요서류 제출하면 되니까 중소기업에 다니는 청년이라면 꼭 챙겨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