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식창고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벌써 9월 고지서 1년에 몇 번 올까?

by 꼬꼬마V 2025. 9. 20.
반응형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벌써 9월 고지서 1년에 몇 번 올까?

벌써 이렇게 됐나 우편함에 꽂힌 세금 고지서를 보고 한숨 쉬는 분들 많으시죠?  저 역시 얼마 전 우편물 봉투를 보고 벌써 9월이야 생각했네요  9월은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이에요 어 ..  근데 7월에 낸 것 같은데 왜 또 나왔을까 ?? 생각하셨나요 1년에 몇 번을 내는 건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제가 경험을 바탕으로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에 대해 속 시원히 알려드릴게요.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벌써 9월 고지서 1년에 몇 번 올까?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아파트와 같은 주택분 재산세는 1년에 두 번으로 나누어 고지됩니다. 특히 9월분 재산세는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반드시 납부해야 합니다.

구분 납부 대상 납부 기간
7월 주택분 재산세 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7월 16일 ~ 7월 31일
9월 주택분 재산세 1/2, 토지 9월 16일 ~ 9월 30일

다만 납부할 총 재산세액이 2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납세자의 편의를 위해 7월에 한번만 전액이 부과됩니다.

 

 

 

 

아파트 재산세 1년에 두 번 내는 이유

결론부터 말하면 아파트 재산세는 1년에 두 번 7월과 9월에 나눠서 냅니다. 저도 처음에는 이걸 몰라서 7월에 낸 세금이 전부인 줄 알았다가 9월에 아파트 재산세 고지서를 또 받고 당황했던 기억이 생생해요.

 

왜 두 번에 나눠 낼까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주택을 소유한 사람에게 1년 치 재산세를 부과하는데 목돈 지출에 대한 납부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세액을 절반으로 나누어 7월과 9월에 고지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내는 재산세는 크게 건물분과 토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7월과 9월에 이 두 가지를 합산한 주택분 재산세를 나누어 낸다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아파트 재산세 부과기준 및 계산 방법

고지서에 찍힌 세금은 공정시장가액비율'과 과세표준별 세율이라는 두 가지 과정을 거쳐서  계산합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전체적인 계산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1단계: 과세표준 구하기 (공정시장가액비율)

내 아파트의 주택공시가격에 아래 비율을 곱하여 세금의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주택공시가격 (1세대 1주택자 기준) 공정시장가액비율
3억원 이하 43%
3억원 초과 ~ 6억원 이하 44%
6억원 초과 45%

2단계: 산출세액 구하기 (과세표준별 세율)

위에서 계산된 과세표준 금액을 아래 표에 대입하여 최종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과세표준 (Tax Base) 세율 (Tax Rate)
6천만원 이하 과세표준의 0.1%
6천만원 초과 ~ 1억 5천만원 이하 6만원 + (6천만원 초과 금액의 0.15%)
1억 5천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19만 5천원 + (1억 5천만원 초과 금액의 0.25%)
3억원 초과 57만원 + (3억원 초과 금액의 0.4%)

 

 

 

 

 

시세 10억 아파트 재산세 계산 순서 

위 표들을 실제 아파트에 적용해 계산해 보겠습니다. 1세대 1주택자가 보유한 시세 10억 아파트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 . 주택공시가격 확인하기

재산세는 실제 거래되는 시세가 아닌 정부가 매년 발표하는 주택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보통 시세의 60~70% 수준에서 정해집니다. 시세 10억 아파트의 공시가격을 7억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주택공시가격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확인가능*

 

 

2.  과세표준 계산하기

공시가격 7억원에 해당하는 공정시장가액비율(6억원 초과) 45%를 곱합니다.

과세표준 계산: 7억원 × 45% = 3억 1500만원

 

3.  산출세액 계산하기

이제 계산된 과세표준 3억 1500만원을 세율표의 3억원 초과 구간에 요율을 곱해 계산합니다.

산출세액 계산: 57만원 + (3억 1500만원 - 3억원) × 0.4% = 63만원

 

4.  최종 납부세액 확인하기

산출된 재산세 63만원에 지방교육세 20%를 더하면 최종 납부할 세금이 됩니다.

최종 납부세액: 63만원 + (63만원 × 20%) = 75만 6000원

 

 

이렇게 계산된 75만 6000원을 7월과 9월에 절반씩 나누어 내게 됩니다. 이 금액은 실제 고지서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계산 흐름을 이해하는 용도로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아파트 재산세 고지서

 

재산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증이 풀리셨나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계산된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내면서 혜택받는 방법과 간편 납부 꿀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