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벌써 9월 고지서 1년에 몇 번 올까?
벌써 이렇게 됐나 우편함에 꽂힌 세금 고지서를 보고 한숨 쉬는 분들 많으시죠? 저 역시 얼마 전 우편물 봉투를 보고 벌써 9월이야 생각했네요 9월은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이에요 어 .. 근데 7월에 낸 것 같은데 왜 또 나왔을까 ?? 생각하셨나요 1년에 몇 번을 내는 건지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오늘은 제가 경험을 바탕으로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에 대해 속 시원히 알려드릴게요.

아파트 재산세 납부기간
아파트와 같은 주택분 재산세는 1년에 두 번으로 나누어 고지됩니다. 특히 9월분 재산세는 9월 16일부터 9월 30일까지 반드시 납부해야 합니다.
구분 | 납부 대상 | 납부 기간 |
---|---|---|
7월 | 주택분 재산세 1/2, 건축물, 선박, 항공기 | 7월 16일 ~ 7월 31일 |
9월 | 주택분 재산세 1/2, 토지 | 9월 16일 ~ 9월 30일 |
다만 납부할 총 재산세액이 20만원 이하인 경우에는 납세자의 편의를 위해 7월에 한번만 전액이 부과됩니다.

아파트 재산세 1년에 두 번 내는 이유
결론부터 말하면 아파트 재산세는 1년에 두 번 7월과 9월에 나눠서 냅니다. 저도 처음에는 이걸 몰라서 7월에 낸 세금이 전부인 줄 알았다가 9월에 아파트 재산세 고지서를 또 받고 당황했던 기억이 생생해요.
왜 두 번에 나눠 낼까요. 매년 6월 1일 기준으로 주택을 소유한 사람에게 1년 치 재산세를 부과하는데 목돈 지출에 대한 납부자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세액을 절반으로 나누어 7월과 9월에 고지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내는 재산세는 크게 건물분과 토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7월과 9월에 이 두 가지를 합산한 주택분 재산세를 나누어 낸다고 이해하시면 쉽습니다.

아파트 재산세 부과기준 및 계산 방법
고지서에 찍힌 세금은 공정시장가액비율'과 과세표준별 세율이라는 두 가지 과정을 거쳐서 계산합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전체적인 계산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1단계: 과세표준 구하기 (공정시장가액비율)
내 아파트의 주택공시가격에 아래 비율을 곱하여 세금의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을 계산합니다.
주택공시가격 (1세대 1주택자 기준) | 공정시장가액비율 |
---|---|
3억원 이하 | 43% |
3억원 초과 ~ 6억원 이하 | 44% |
6억원 초과 | 45% |
2단계: 산출세액 구하기 (과세표준별 세율)
위에서 계산된 과세표준 금액을 아래 표에 대입하여 최종 산출세액을 계산합니다.
과세표준 (Tax Base) | 세율 (Tax Rate) |
---|---|
6천만원 이하 | 과세표준의 0.1% |
6천만원 초과 ~ 1억 5천만원 이하 | 6만원 + (6천만원 초과 금액의 0.15%) |
1억 5천만원 초과 ~ 3억원 이하 | 19만 5천원 + (1억 5천만원 초과 금액의 0.25%) |
3억원 초과 | 57만원 + (3억원 초과 금액의 0.4%) |

시세 10억 아파트 재산세 계산 순서
위 표들을 실제 아파트에 적용해 계산해 보겠습니다. 1세대 1주택자가 보유한 시세 10억 아파트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1 . 주택공시가격 확인하기
재산세는 실제 거래되는 시세가 아닌 정부가 매년 발표하는 주택공시가격을 기준으로 합니다. 보통 시세의 60~70% 수준에서 정해집니다. 시세 10억 아파트의 공시가격을 7억원이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 주택공시가격은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에서 확인가능*
2. 과세표준 계산하기
공시가격 7억원에 해당하는 공정시장가액비율(6억원 초과) 45%를 곱합니다.
과세표준 계산: 7억원 × 45% = 3억 1500만원
3. 산출세액 계산하기
이제 계산된 과세표준 3억 1500만원을 세율표의 3억원 초과 구간에 요율을 곱해 계산합니다.
산출세액 계산: 57만원 + (3억 1500만원 - 3억원) × 0.4% = 63만원
4. 최종 납부세액 확인하기
산출된 재산세 63만원에 지방교육세 20%를 더하면 최종 납부할 세금이 됩니다.
최종 납부세액: 63만원 + (63만원 × 20%) = 75만 6000원
이렇게 계산된 75만 6000원을 7월과 9월에 절반씩 나누어 내게 됩니다. 이 금액은 실제 고지서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계산 흐름을 이해하는 용도로 참고하시면 좋습니다.

재산세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궁금증이 풀리셨나요?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렇게 계산된 재산세를 신용카드로 내면서 혜택받는 방법과 간편 납부 꿀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지식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신청방법 경정청구 이렇게 (1) | 2025.09.11 |
---|---|
고구마줄기 손질법 껍질 벗겨 삶고 말리는방법 (0) | 2025.09.09 |
서울 조부모 돌봄수당 신청 방법, 조건, 지원 금액 총정리 (0) | 2025.09.03 |
수도요금 조회 카드납부 방법 이사정산시 참고 (1) | 2025.09.02 |
인터넷 주민센터 전입신고 방법 꼭 해야하는 이유 (1) | 2025.08.27 |